제자리암이란? 원인, 종류, 특징 및 치료방법 등 총정리

제자리암(Carcinoma in situ, CIS)은 암세포가 발생했지만, 주변 조직으로 침범하지 않은 0기 단계의 암을 말합니다. 이 상태에서는 암세포가 상피세포 층에만 존재하며 기저막을 뚫지 않았기 때문에 전이가 불가능합니다. 조기 발견 시 치료 성과가 매우 높아 완치율이 95~100%에 달합니다. 본문에서는 제자리암의 정의, 원인, 진단, 치료 방법과 예방, 그리고 예후까지 상세하게 안내합니다. 👉 제자리암의 정의와 특징 제자리암은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한 상태지만, 그 세포가 발생한 위치에서만 머물러 있는 경우를 의미합니다. 암의 정의는 세포의 무제한적 증식과 주변 조직 침범인데, 제자리암은 침범이 없는 상태이므로 조기 단계에 해당합니다. 병기 분류상 0기 에 해당하며, 이 시기에는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한 전이가 불가능합니다. 침윤성 암과 달리 주변 조직 파괴가 없음 무증상인 경우가 많아 검진을 통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음 치료 후 재발 가능성은 있지만 예후가 매우 좋음 발생 부위 예시: 자궁경부상피내암 (Cervical CIS) 유방상피내암 (DCIS, LCIS) 대장 상피내암 방광 CIS 피부 보웬병(Bowen’s disease) 👉 제자리암의 원인 바이러스 감염 - 자궁경부암의 경우 인유두종바이러스(HPV) 감염이 핵심 원인 만성 자극과 염증 - 방광, 피부, 점막 등에서 지속적인 자극과 염증이 세포 변이를 유발 유전적 요인 - 암 억제 유전자 변이 호르몬 영향 - 유방암, 자궁내막암 등 호르몬 관련 암에서 관여 생활습관 - 흡연, 음주, 자외선, 발암물질 섭취 👉 제자리암의 진단 세포검사 - 자궁경부세포검사(Pap smear) 내시경 및 영상검사 - 대장내시경, 유방촬영술, 방광경 조직검사 - 기저막 침범 여부 확인 👉 치료 방법 국소 절제술 - 병변 부위만 절제 내시경 절제술 - EMR, ESD...